본문 바로가기

자유/독서

반성하는 마음을 가진 희귀한 존재

 
인생의 허무를 어떻게 할 것인가
사상사 연구자이자 칼럼니스트인 김영민 서울대 교수가 들려주는 인생의 허무와 더불어 사는 법. 북송시대 문장가 소식의 「적벽부」를 모티프 삼아, 인류의 보편적 문제인 ‘허무’에 대한 오래된 사유의 결과물을 그만의 독특한 시선으로 포착해내고 재해석했다. 허무라는 주제를 다룬 만큼 죽음과 해골이 등장하지만, 김영민식의 유머와 통찰 덕분에 너무 무겁지 않으면서도 너무 가볍지 않게 허무를 직면하고 받아들일 수 있다. 인생이 허무하다고 느껴지는 순간을 경험한 이라면 그의 글을 통해 일상을 버틸 수 있는 작은 위안을 얻을 수 있다. 천천히 읽을수록, 곁에 두고 오래 음미할수록 그 가치가 빛을 발한다. 사상사 연구자이자 칼럼니스트인 김영민 서울대 교수가 이번에는 ‘인생의 허무’를 주제로 한 인문 에세이를 펴냈다. 앞선 산문집에도 ‘허무’라는 테마는 등장했지만, 오로지 인생의 허무에 대한 그의 사유를 담은 것은 이번 책이 처음이다. 남녀노소 나이불문 누구나 한번쯤은 인생이 허무하다고 느꼈을 것이다. 그럴 때마다 당신은 어떻게 했을까? 허무의 근원을 깊이 파고들거나 건너뛰거나 무시하거나 또는 극복했을까? 김영민 교수는 “인생은 허무하다”고 직설한다. 허무가 인간 영혼의 피 냄새 같은 것이어서, 영혼이 있는 한 아무리 씻어도 지워지지 않는다면서도 “인간이 영혼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듯이, 인간은 인생의 허무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다”고 선언한다. 도대체 허무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란 무엇일까? 저자 김영민은 인간에게 희망, 선의, 의미가 언제나 삶의 정답은 아니라고 말한다. 겉으로는 멀쩡해 보여도 속으로는 이미 탈진 상태이거나 세상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하거나 텅 비어버린 이들에게 희망과 선의, 의미를 가지라고 한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 그렇기에 저자는 선의 없이도, 희망 없이도, 의미 없이도, 시간을 조용히 흘려보낼 수 있는 상태를 꿈꾼다. 목적이 없어도 되는 삶을 원한다. 삶을 살고 싶지, 삶이란 과제를 수행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저자의 삶에 대한 태도는 우리에게 허무와 더불어 살아가는 삶이 무엇인지 그 일면을 보여준다.
저자
김영민
출판
사회평론아카데미
출판일
2022.10.31

 

봄날은 간다
실로 두려운 것은, 그냥 하루가 가는 것이다.
아무렇지 않게 시간이 흐르고, 서슴없이 날이 밝고, 그냥 바람이 부는 것이 두려운 것이다.

봄이 가는 것이 아쉬운가. 세월이 가는 것이 그리 아쉬운가.
아쉬운 것은, 저 아름다운 것이 지나가기 전에 할 일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에게는 한시도 사라지지 않은 선한 마음이 있다고 기대승은 믿는다.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그 마음을 버려두고 세상의 허영을 좇는 것은 영원한 것을 버려두고 사라질 것을 좇는 일과 다름없다.

떠나는 봄이 아쉬운가.
자신의 선한 마음을 "돌이켜본다면, 간직할 수 없는 봄이 애당초 내게 없었던 적이 없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이 광활한 우주는 마음이 없다.

조물주는 모든 것을 만물에 맡길 뿐, 사사로이 간섭하지 않는다.
이 무심한 세상에서 반성하는 마음을 가진 희귀한 존재로서 이간은 불가피하게 묻는다.
어떻게 이 세상을 사랑할 것인가.

- 책 ~p22 발췌

 

봄날은 잠시 있다가 지나간다. 물론 기다리면 다음 봄날이 또 찾아온다.

그러나 인간의 시계는 유한하여, 지금 맞이하는 봄날이 마지막 봄날은 아닐까 조바심이 난다.

조바심이 일기에 지나가는 것을 붙잡고 싶어 진다. 

영원하지 않은, 간직할 수 없는, 사라질 것을 좇는 일은 허무하다. 

 

허무한 인생을 사랑하는 법은 책에도 나오지만, 

그것보다 드라마 도깨비의 대사가 떠오른다. 

신은 그저 질문하는 자일뿐. 운명은 내가 던지는 질문이다. 답은 그대들이 찾아라.
<도깨비 12화>

 

출처:&nbsp;https://blog.naver.com/thatkxkd1022/220912043446

 

운명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누군가 내게 묻는 질문이라 생각하여,

스스로 답을 찾아내는 것이 인생이라 생각한다면

인생을 좀 더 사랑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