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독서

Human Library - Unjudge someone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
‘사람 책’을 대여해주는 사람 도서관에서는 내가 ‘빌린’ 사람과 30분 동안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소수 인종부터 에이즈 환자, 이민자, 조현병 환자, 노숙자, 트랜스젠더, 실직자 등 다양한 사람이 그들의 값진 시간을 자원한 덕에 이 도서관은 유지된다. 타인을 향한 낙인과 편견, 혐오를 완화하고 이해와 존중, 공존의 의미를 되새기고자 덴마크에서 처음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이제 전 세계 80여 개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다. 대학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뒤, 자살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픈 생각에 정신과 의사로 전향한 예일대학교 나종호 교수는 첫 책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에서 사람 도서관 ‘사서’를 자처한다. 저자는 마치 사람 도서관처럼 자신의 환자들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 다리를 놓아줄 수 있기를 바라며 이 책을 썼다. 책에는 저자가 미국 메이요 클리닉과 뉴욕대학교 레지던트를 거쳐 예일대에서 중독 정신과 전임의(펠로우)를 하는 동안 만난 다양한 환자들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말 그대로 인종도, 성별도, 나이도, 직업도, 성 정체성도 제각각이다. 공통점은 모두 사회적 약자이자 소수자라는 것이다. 그들의 ‘이야기’를 대신해 들려주는 이유는 분명하다. 이야기의 힘을 믿기 때문이다. 저자는 “정신과 환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를 향한 대중의 낙인과 편견을 가장 효과적으로 줄이는 방법은 낙인이나 차별의 대상이 되는 집단 구성원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일”이라고 말한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는 “삶의 많은 문제는 사람을 향한 오해와 낙인 그리고 혐오에서 온다. 심리적 문제를 앓고 있는 사람들, 소수 인종, 성소수자. 이들에 대한 오해만 걷어내도 우리 삶은 자유로울 것”이라며 “이 책이 우리에게 그런 자유를 맛보게 해준다”는 추천사로 일독을 권했다.
저자
나종호
출판
아몬드
출판일
2022.05.27

 

절망과 무기력의 환자들을 돌보는 일은 그 자체로 스트레스일 것 같기도 하지만, 다양한 군상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편견 없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면 보람 있는 인생이지 싶다. 본인 스스로도 유색인종 외국인 노동자임에도 스스로 갖고 있는 타인을 향한 편견부터 깨려는 노력이 돋보인다.

 

편견이 없어야 투자에도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새로 알게 된 사실들.

 

미국의 응급실은 정신과 진료가 있다

 

저자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다. 

미국 응급실에는 정신과 진료가 있다는 게 특이하다고 느껴졌다. 

응급한 환자라면 보통 물리적인 외상/내상으로 피가 철철 흐르는 상황을 연상하는 "편견"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자살 시도는 보통 10분 내외에 이루어지고, 첫 시도에서 성공 확률은 50%가 넘는다고 하니(미국의 경우 총기 소지 특성상 높다고 한다) 어떠한 물리적인 외상과 비교해도 응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맞을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의지가 부족하여 남들보다 어려움을 겪는다고 생각하는 편견이 존재한다. 이러한 편견은 우울증 환자 본인에게도 존재하는데 저자는 부디 편견을 깨주기를 당부하며, 특히 중독에 관해서는 본인 의지로는 절대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것을 강조한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우리나라의 응급실에 정신과 진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덴마크에서 시작한 휴먼 라이브러리

 

https://humanlibrary.org/

 

Unjudge someone - The Human Library Organization

The Human Library® is, a library of people. We host events where readers can borrow human beings serving as open books and have conversations.

humanlibrary.org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

 

저자가 업무적으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을 보면서 본인이 가졌던 편견, 혐오, 낙인을 깨부수는 과정과 비교하여 덴마크에서 시작된 사람 도서관을 소개한다.

우리나라에도 전파가 되어 노원 도서관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라고 하는데, 저자가 말한 "사람" 도서관이랑 개념이 다른 것 같긴 하다. 국내의 것은 정보와 지식의 전달에 포커스가 되어 있는 듯하고, 저자가 소개한 것은 다양한 인종,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 이해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언젠가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소통하고 싶지만, 엉뚱하게도 여기서 드는 생각은 언어의 장벽. 

최근 ChatGPT의 열풍을 보면서도 느낀 생각이지만, 갈수록 디바이스나 기술의 발달로 언어의 장벽이 허물어진다고 하지만 그럴수록 다국어 능력은 더욱 빛을 발할 것 같다. 

 


DSM-5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진단이 성립하기 위한 트라우마를 '죽음/심각한 부상/성폭력 또는 그에 대한 위협을 직접 경험하거나 타인이 경험하는 일을 목격하는 것, 또는 이러한 사건이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게 일어났음을 알게 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p47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편도체가 손상될 경우 다른 사람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는 있다고 한다. 그러나 어떤 연구에서는 편도체를 절제한 환자에게서 오히려 과도한 공감 능력(hyper empathy)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감정을 인지하는 과정은 편도체에만 의존하기보다는 매우 복잡한 뇌의 기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p69

나는 반 고흐의 작품 <신발>을 좋아한다. "타인의 신발을 신고 걸어보라(Walk a mile in one's shoes)"는 격언을 떠올리게 해서다. 물론 누구도 (모든) 타인의 신발을 신고 걸어볼 순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구는 나에게 타인의 경험과 관점, 삶을 함부로 재단하지 말라는 자경문과 같다.
p105

영문으로 동정(sympathy)과 공감(empathy)은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큰 차이가 있다. 동정은 그리스어인 'sun(함께라는 뜻)'과 'pathos(감정)'를 합친 데서 연유한다. 즉 동정은 어떤 사람의 바깥에서 그의 고통을 함께 느끼고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에 공감은 그리스어의 'em(안이라는 뜻)'과 'pathos'를 합친 말에서 왔다. 타인의 감정을 그의 안에 들어가서, 마치 그 사람의 거죽을 입고 느끼듯이 이해하는 것이다.
p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