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과 무기력의 환자들을 돌보는 일은 그 자체로 스트레스일 것 같기도 하지만, 다양한 군상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편견 없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면 보람 있는 인생이지 싶다. 본인 스스로도 유색인종 외국인 노동자임에도 스스로 갖고 있는 타인을 향한 편견부터 깨려는 노력이 돋보인다.
편견이 없어야 투자에도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새로 알게 된 사실들.
미국의 응급실은 정신과 진료가 있다
저자는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다.
미국 응급실에는 정신과 진료가 있다는 게 특이하다고 느껴졌다.
응급한 환자라면 보통 물리적인 외상/내상으로 피가 철철 흐르는 상황을 연상하는 "편견"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자살 시도는 보통 10분 내외에 이루어지고, 첫 시도에서 성공 확률은 50%가 넘는다고 하니(미국의 경우 총기 소지 특성상 높다고 한다) 어떠한 물리적인 외상과 비교해도 응급한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맞을 것이다.
사람들은 보통 의지가 부족하여 남들보다 어려움을 겪는다고 생각하는 편견이 존재한다. 이러한 편견은 우울증 환자 본인에게도 존재하는데 저자는 부디 편견을 깨주기를 당부하며, 특히 중독에 관해서는 본인 의지로는 절대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것을 강조한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인 우리나라의 응급실에 정신과 진료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덴마크에서 시작한 휴먼 라이브러리
Unjudge someone - The Human Library Organization
The Human Library® is, a library of people. We host events where readers can borrow human beings serving as open books and have conversations.
humanlibrary.org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
저자가 업무적으로 만나게 되는 다양한 사람들을 보면서 본인이 가졌던 편견, 혐오, 낙인을 깨부수는 과정과 비교하여 덴마크에서 시작된 사람 도서관을 소개한다.
우리나라에도 전파가 되어 노원 도서관에서 활발하게 운영 중이라고 하는데, 저자가 말한 "사람" 도서관이랑 개념이 다른 것 같긴 하다. 국내의 것은 정보와 지식의 전달에 포커스가 되어 있는 듯하고, 저자가 소개한 것은 다양한 인종, 종교,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만나 이해하는 것이 포인트이다.
언젠가는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소통하고 싶지만, 엉뚱하게도 여기서 드는 생각은 언어의 장벽.
최근 ChatGPT의 열풍을 보면서도 느낀 생각이지만, 갈수록 디바이스나 기술의 발달로 언어의 장벽이 허물어진다고 하지만 그럴수록 다국어 능력은 더욱 빛을 발할 것 같다.
DSM-5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진단이 성립하기 위한 트라우마를 '죽음/심각한 부상/성폭력 또는 그에 대한 위협을 직접 경험하거나 타인이 경험하는 일을 목격하는 것, 또는 이러한 사건이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에게 일어났음을 알게 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p47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면, 편도체가 손상될 경우 다른 사람의 표정에서 감정을 읽는 데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는 있다고 한다. 그러나 어떤 연구에서는 편도체를 절제한 환자에게서 오히려 과도한 공감 능력(hyper empathy)을 관찰할 수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감정을 인지하는 과정은 편도체에만 의존하기보다는 매우 복잡한 뇌의 기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p69
나는 반 고흐의 작품 <신발>을 좋아한다. "타인의 신발을 신고 걸어보라(Walk a mile in one's shoes)"는 격언을 떠올리게 해서다. 물론 누구도 (모든) 타인의 신발을 신고 걸어볼 순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구는 나에게 타인의 경험과 관점, 삶을 함부로 재단하지 말라는 자경문과 같다.
p105
영문으로 동정(sympathy)과 공감(empathy)은 매우 유사해 보이지만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큰 차이가 있다. 동정은 그리스어인 'sun(함께라는 뜻)'과 'pathos(감정)'를 합친 데서 연유한다. 즉 동정은 어떤 사람의 바깥에서 그의 고통을 함께 느끼고 이해하는 것이다. 반면에 공감은 그리스어의 'em(안이라는 뜻)'과 'pathos'를 합친 말에서 왔다. 타인의 감정을 그의 안에 들어가서, 마치 그 사람의 거죽을 입고 느끼듯이 이해하는 것이다.
p119
'자유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성하는 마음을 가진 희귀한 존재 (0) | 2023.02.06 |
---|---|
권력이 가져다주는 변화 - 승자의 뇌 (0) | 2023.02.03 |
독서 습관 고치기 - 반드시 내 문장으로 요약 (0) | 2023.01.27 |
마중물 - 피카소 아들의 미스터리 (2) | 2023.01.26 |
세로토닌 활성화 - 마음의 균형 찾기 (0) | 2023.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