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독서

역행자 모델 점검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이 

무엇인지 간단히 요약하고, 

지금의 내 상태가 어느 정도인지 

평가해 보고자 한다. 

각 요소별 5점 만점으로 점수화.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은 다음과 같다. 

 

1. 자의식 해체 

2. 정체성 만들기 

3. 유전자 오작동 

4. 뇌 자동화 

5. 역행자의 지식 

6. 경제적 자유를 얻는 구체적 루트 

7. 역행자의 쳇바퀴 

 


<역행자 1단계. 자의식 해체>

 

1) 단계의 정의 

 

 - 잠재된 과잉 자의식을 해체하기 

 - 스스로 멍청함을 인정하고, 대상을 질투하지 말자

 - 자아의 상처 입음에 대해 피하려고 하지 말자

 

2) 나의 상태 진단 : 아직 멀었다. 1점.

 

 - 진작부터 해체하려 노력은 했다. 

 -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니, 주변 모두가 성취한 게 딱히 없던 어린 시절이었기에 해체하려 노력한 것처럼 보였다. 

 - 나이가 들고 주변의 성공 사례가 하나 둘 나타나는 시점이 오니, "나보다 학력도 별론데" "에이 집안이 도와줬겠지"라는 질투와 현실 부정을 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 새로운 시도에 대해 늘 관심 갖으나 시도를 잘 못한다. 자아의 상처에 두려움이 있다.  

 

<역행자 2단계. 정체성 만들기>

 

1) 단계의 정의 

 

 - 해체한 자의식에, 새로운 자의식을 세워라 

 - 운명을 거부하고, 한계를 긋지 않고 자신을 변화시킬 목표를 세워라 

 - 정체성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결심이 아니라 환경을 만들어라. 

 - 책을 통한 간접 최면 -> 환경 설계 -> 집단 무의식. 

 

2) 나의 상태 진단: 간접 최면은 하고 있다. 2점

 

 - 원하는 목표를 위한 독서와 수강을 꾸준히 하고 있다. 

 - 구체적 단계별 정체성 확립은 미진하다. 

 - 첫 번째 목표로 내 집 마련과 월급 이상의 자동 소득 만들기가 있다. 

 - 환경 설계와 집단 무의식이 남았다. 

 


(이어서 계속)

출처: 자청, 2022, 웅진지식하우스, [역행자]

 
역행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전자와 본성의 명령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에 평범함을 벗어날 수 없다. 하지만 정작 자신은 이를 모른 채 ‘나는 달라’ 하는 자의식에 사로잡혀서 무한 합리화에 빠져 살아간다. 스스로가 얼마나 많은 정신적, 심리적 오류를 저지르는지 알지 못한 채 매일 똑같은 쳇바퀴를 돌 뿐이다. 왜 우리는 진짜 자유를 얻지 못하는가? 왜 늘 돈 이야기를 하면서도 평생 돈에 허덕이는가? 저자 역시 스무 살까지는 이런 쳇바퀴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그 상황을 누구보다 잘 알았다. 자청의 첫 책 『역행자』에는 가난한 인생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유와 행복을 얻은 저자가 깨달은 인생 레벨업 치트키가 빼곡히 담겨 있다. 10대 때의 그는 외모, 돈, 공부, 그 어떤 것에서도 최하위였다. 그러던 스무 살 무렵, ‘인생에도 게임처럼 공략집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삶이 180도 바뀌기 시작한다. 200여 권의 책을 독파하며 얻은 인생의 치트키들을 활용해 창업에 연이어 성공한 것이다. ‘연봉 10억 무자본 창업가’로 유명해진 그는 2020년, 단 20개의 영상으로 10만 구독자를 넘어서며 화제를 모았으나 곧장 미련 없이 유튜브를 그만뒀다. 이후 본업인 온라인 마케팅 비즈니스를 비롯해 다방면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그 사이 ‘라이프해커 자청’이라는 캐릭터와 ‘무자본 창업’이라는 개념은 사람들의 고정관념을 깨는 상징이 됐다. 자청이 찾아낸 ‘역행자의 7단계 모델’을 통해 함께 ‘인생의 추월차선’으로 향하자.
저자
자청
출판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일
2022.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