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일기

메카트로닉스(오토미션) 고장 - 나에게도 이런 일이 오는구나

 

아내 혼자 일을 보고 집으로 돌아오던 중, 달리던 차가 도로 한가운데서 멈춰버렸다. 

서울 시내 고속화도로였는데 다행히 사고 없이 갓길에 차를 세우고, 차를 견인해 집으로 돌아왔다. 

2015년에 구입했고, 10만 Km 채 타지 않았다. 

기어 변속기 오류였는, 고장 나기엔 연식도 주행거리도 그리 많지는 않은 편이다.

 

어쩔 수 없다는 생각으로, 공식서비스센터에 차를 입고 시켰다. 

점검하고 견적이 나오기까지 며칠이 걸린다는 얘기를 듣고, 그 사이 다른 정비업소에도 알아보기로 마음먹었다. 

첫 번째 전화한 곳에서는 1,000만 원도 나올 수 있으니 절대 공식센터에 맡기지 말고, 견적을 받은 뒤 자기에게 연락하란다. 맙소사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천만 원이라니, 멀쩡한 중고차 팔아도 그 가격을 못 받는데. 

센터에서 연락이 왔고, 다행히(?) 400만 원 정도의 견적이 나왔다. 예방주사를 맞고 연락을 받아서인지, 그럴 수 있겠구나 싶다. 변속기 제어장치인 메카트로닉스 고장으로 독일에서 부품 전체를 사 와서 교환해야 한단다. 나름대로 설명을 잘해주었고,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면 된다고 안내해 주었다. 320만원으로 깎아주겠다고 한다. 

 

다른 정비소에 전화를 해봤다. 메카트로닉스 고장이라면, 서비스센터와 수리비가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고 금액조차 알려주지 않고 끊는다. 또 다른 곳에 연락을 해본다. 270만 원까지도 가능하긴 한데, 그것만 고쳤을 때 증상이 해결된다는 보장이 없으니 차량을 입고시켜야 알 수 있단다. 내 생각엔 입고를 시킨다 한들 확신 있게 답을 줄 것 같지 않았다. 

 

결국 블로그나 카페 등을 전전하며 리뷰와 후기들을 찾아보았다. 정말 천차만별이구나 싶었고, 그래도 희망적인 건 입고시킨 센터가 그렇게 바가지를 씌운 게 아니었다는 걸 깨달았다. 그러나 얼마가 들든 언제나 다시 고장 날 위험이 노출되어 있어 불안감을 지우긴 힘들어 보였다. 

 

삼정오토미션이라는, 굴지의 정비소를 발견하여 홈페이지도 들어가보고 모의 견적도 내보았다. 오토미션 정비가 자동차 정비 업계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걸 깨달았다. 

 

사진: Unsplash 의 Alexander Jawfox

 

지금 생각해 보면 아찔하다. 큰 사고라도 났으면 어떻게 대응해야 했을까. 

사고가 나지 않았다 하여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일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생각하니, 이걸 또 서비스센터 직원에게 클레임 한 들 무슨 소용인가 싶다. 

흔히들 차는 "뽑기"라며 자조 섞인 농담을 한다. 수천 만원 혹은 그 이상의 값을 지불하면서, 동전 넣어 돌려서 나오는 장난감 "뽑기"에 비유한다. 제조사에 책임을 묻고 싶으나 제대로 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탓이 아닌가 싶다.

 

경험을 해봐야 알 수 있고,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다. 문제의식을 가졌으니 개선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그러나 너무 정보 불균형이 심한 시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