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가 늘어나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이야기는 익히 들었다. 나의 단순한 사고 회로로는 “금리” 정도가 떠오른다. 당장 내가 작년 말부터 실제 체감했다.
저금리 시절에 대출을 받아둔 것이, 기준금리가 상승하면서 급격하게 이자 부담이 증가해 버렸다. 기준 금리는 정기적으로 열리는 금통위에서 결정된다. 금통위에서는 미국의 통화 정책과 국내 사정을 감안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정책 기조가 상당 부분 예측 가능하다. 점쟁이처럼 시기별 금리를 맞출 수는 없어도 추세는 읽을 수 있다는 얘기다.
모르는 건 아니었다. 다만, 나의 변동 금리는 6개월 단위 갱신이었고 운이 좋게도 6월 갱신 당시에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나의 신용 등급도 내심 고려했다. 남들보다 크게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이 있었다. 그리고 12월이 되자 나의 대출 금리는 크게 증가했다.
이렇듯 금융 기관과 정부에서는 예측 가능성을 높이려 노력하지만 개개인의 경우 각자의 사정과 무논리에 근거한 막연한 기대감으로 갑작스러운 상황을 맞는 경우가 종종 있는 듯하다.
그렇기 때문에 가계부채가 위험하다는 것은, 단순히 금리 상승의 위험뿐만 아니라 사회 주체들의 비합리성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진다. 경기가 반등하지 않거나 침체되는 경우라도, 나는 아니겠지라는 실험실 속 개구리 같은 자세로 서서히 죽어가는 채무자들이 늘어날 수 있다.
한은 총재는 부동산 투자 시 고려하라면서 당분간 금리가 낮아지기 어렵다는 이야기를 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라면 경기가 침체가 오더라도 섣불리 금리를 내릴 생각이 없다는 의도다.
반대로 생각해 보면 그리 올릴만한 스탠스도 아닌 듯하다. 올릴 예정이라면 더 적극적으로 겁주는 발언을 하지 않았을까. 기습 인상으로 시장에 충격을 줄 여유는 없으니까.
그래서 결론은, 가계부채는 은행 BIS 비율 때문에라도 조절해 가며 규제를 이어갈 것이고 금리는 지금보다 더 높이 올리기는 어려워 보인다.
즉, 외부 충격 없이 가계부채로 인한 위기가 터지지는 않을 듯하고 금리 역시 크게 오를 것 같지 않으므로 부담가능한 수준의 대출은 일으켜도 좋겠다.
그러나 늘 그렇듯 외부 충격과 대중들의 비합리성은 항상 조심해야 한다.
'경제 > 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umer Sentimental Index (0) | 2023.09.16 |
---|---|
이중성 (0) | 2023.09.12 |
Deep-sea mining : 곧 현실화? (0) | 2023.07.18 |
아시아 전통 가족 형태가 무너지고 있다(무너져야 한다) (0) | 2023.07.15 |
재산세 납부 및 경제주간지 구독 (0) | 2023.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