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조와 진행하던 팟캐스트를 한때 열심히 들었고, 얼마 안 되는 아는 작가 중에 좋아하는 작가 장강명.
소설가라는 이상한 직업
‘말하고 듣는 세계’보다 ‘읽고 쓰는 세계’를 지향하며 책을 중심으로 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누구나 책을 써보자고 제안했던 소설가 장강명. 『소설가라는 이상한 직업』(유유히)에서는 자신의 직업인 ‘소설가’가 헌신할수록 더 좋아지는 직업이라고 당당히 고백하며, 부지런히 글을 지어 먹고사는 소설가의 일상과 더불어 문학을 대하는 본심을 숨김없이 풀어놓는다.
소설가 장강명은 오후 11시 반쯤 자고 오전 6시 반 전에 일어난다. 글 쓰는 시간은 스톱워치로 재고 매일의 생산량을 엑셀에 기록한다. 앉아서 오래 일하는 직업이라 아프지 않기 위해 일주일에 두세 번 정도 집에서 간단한 웨이트트레이닝을 한다. 롤 모델은 저널리스트 출신 소설가 조지 오웰, 그와의 공통점을 하나씩 찾아가는 재미를 쌓고 있다. 전업 작가 생활의 외로움은 일과 이후 맛있는 맥주로 달랜다. 장강명은 책을 낸 뒤에는 자신의 소설을 잘 읽지 않는다. 읽어서 즐거운 소설이 없다. 해피엔딩 애호가 장강명은 소설을 쓸 때마다 늘 후순위로 밀려난다. 소설만큼은 쓰다 보면 진지해진다. 작업을 하는 내내 ‘이걸 왜 하지?’라는 생각을 떠올리며 이유를, 의미를 찾다 보면 그렇다.
소설을 집필하다 보면 다른 소설가들은 어떻게 해왔지 하고 궁금해질 때가 있다. 실존 고유명사를 쓰고 싶은데 업계 관행에 따라 현실과 다른 고유명사를 꼭 지어야 하나? 무슨 가이드라인 같은 건 없을까? 『재수사』를 쓰면서는 실제 기관이나 지명을 쓰는 대신, 독자들이 실존 대상의 특징으로 착각할 위험성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을 바꾸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소설에서 표절의 기준은 무엇일까? (출처를 밝힐 의무가 없음에도, 작품 속 ‘작가의 말’에서 어디서 아이디어를 얻었는지 시시콜콜 밝히고 있다) 발표한 작품의 주제를 묻는 사람들에게 뭐라고 대답해야 할까? 작가 자신도 책을 내고 낸 다음에도 정확히 뭘 썼는지 모르는 건 아닐까? (소설을 쓰는 동안 ‘이 작품의 주제가 뭐지? 내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거지?’ 하고 스스로에게 자주 물으며 답을 준비하는 편이다) 등등.
한편 소설가의 수입에 관한 궁금증도 하나씩 풀어본다. 좋은 점부터 이야기하자면 21세기 문화 강국이 된 덕분에 소설 판권이 활발히 팔리는 중이고 미디어업계에서는 소설가에게 협업 및 고용 제안도 한다. 정확히 책으로 먹고사는 건 아니지만, 2차 판권 수입은 전업 작가 생활을 유지하는 데 분명 도움을 주고 있다. 더불어 대부분의 작가들은 강연으로 돈을 번다. 단 그 강연료를 먼저 제시하지 않거나 안 주는 식으로 공연히 작가들을 속앓이하게 만드는 단체들이 많다. 또 고료 체불이나 인세 지급 누락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끝내 계약 해지까지 이른 경험을 토로하면서 장강명은 이렇게 말한다. 출판은 문화 운동이기 이전에 엄연한 비즈니스이므로, 기본을 제대로 지켜달라고. “입금, 교정, 예의 같은 것을.(241쪽)”
- 저자
- 장강명
- 출판
- 유유히
- 출판일
- 2023.02.15
표절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흥미롭다.

구체적인 표현을 대상으로 삼는 것에는 완전히 동의한다. 의도와는 관계없이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며, 어느 아티스트는 그래서 남의 노래를 웬만해서는 잘 듣지 않으려고 노력한다고 했다. 사실 허언증 같긴 하지만.
반면 구조 표절은 있을 수 없다는 점이 약간은 의아하기도 하다. 물론 대체적으로는 동의한다. 구조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냐에 따라 모든 작품은 같은 구조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녀 역할만 바꿔도 표절이 아니라니. 원작을 접하지 않은 독자가 남녀 역할을 바꾼 작품을 먼저 만났을 때 원작과 같은 수준의 감동과 감정을 느낀다면 표절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원작의 풍미를 훔쳤다고 해야 하나.
구체적인 표현에 있어서는 의도와 관계없이 표절이 명백하므로 조심해야 할 것이고, 구조와 관련된 유사성에 대해서는 작가의 의도까지 충분히 고려하여 판단하는 게 맞지 않을까 생각한다. 물론 그게 가능한 영역은 아닐 수도 있겠다.
'자유 >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스크 vs 저커버그 - 손자병법 (0) | 2023.07.05 |
---|---|
맥락의 부재 (0) | 2023.06.23 |
부자의 그릇 - 돈을 다루는 능력을 키우는 법 (0) | 2023.06.21 |
보편적 상식 (0) | 2023.06.08 |
도파민네이션 (1) | 2023.06.01 |